독립기념관에 가보면 / 1982년 일본 교과서 왜곡에 대응하여 국민의 성금을 보태서 1987년8월15일 개관한 독립기념관이 천안시 목천읍 독립기념관로 1번지에 있다.
해가 지는 왼쪽, 서편 언덕으로 올라가면 의미있는 야외 전시물을 만나게 된다. 1995년 철거된 조선총독부 청사, 즉 중앙청 건물의 첨탑과 석재의 일부를 전시해 놓은 전시공원이다.
독립기념관 방문시 필답코스다.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천안시 인근을 여행하는 경우 3시간 정도 시간을 내서 방문하시기를 권한다.
관전 포인트가 있다. 전시공원의 설계와 기획의도를 진중한 마음으로 살펴보기 바란다.
반지하를 파고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한 석재의 일부를 원형경기장처럼 배치하고 그 아래 가장 낮은 곳에 첨탑을 배치했다. 관람객들은 원형의 경기장 형태의 언덕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으로 관람한다.
조선총독부건물은 ‘일제36년’의 상징이다. 일제는 조선의 정궁인 경복궁터에 건축을 진행하면서 경복궁의 전각들을 헐어냈고 광화문을 강제로 이전하였다.
다시 제자리를 찾은 광화문과 경복궁을 하늘에서 바라보면 일제가 조선총독부 건물터를 이곳에 잡은 이유를 알게 된다.
1945년 9월 9일부터 조선총독부 건물은 미국 육군이 미군정청 청사로 쓰인다. 그날 오후에 청사 1층 회의실에서 미국 하지중장과 일본 아베대장의 항복문서 서명식이 열렸다고 한다.
이후 미군은 이 건물을 캐피탈홀(Capital Hall)이라 불렀고 우리는 이를 직역하여 중앙청이라 작명했다. 6.25전쟁중 서울 수복을 알리는 해병대 장병의 손에의해 태극기가 게양된 곳이 바로 중앙청이다.
1995년 3월 1일 오전 10시에 정부는 중앙청 광장에서 '광복 50주년 3.1절 기념 문화 축제'를 열고 건물을 헐어낸다고 선포했다.
건물 전체를 독립기념관으로 이전하고 항일관련 건물로 쓰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이전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국민적 관심과 논란속에 철거되었다.
그 첨탑을 독립기념관 반지하에 전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반드시 독립기념관을 방문하고 첨탑이 설치된 현장을 親見(친견)하며 그 의미를 가슴에 새기시기를 바란다.

[약력]
-1958년 화성 비봉 출생
-경기도청 홍보팀장, 공보과장
-동두천·오산·남양주시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화성시 시민옴부즈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