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공무원이 해야 할 일

이강석 전 남양주시 부시장

10명에게 밥상을 차리는데 5명분 2번 차리는 것과 2명분을 5번 준비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 밥상만 받아본 사람은 알 수 없는 數式(수식)이겠지만 평범한 주부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다. 그 이유를 쉽게 설명하진 못하겠지만 우선 손을 내저으며 여하튼 다르다는 주장을 할 것이다.

 

900만의 인구가 살고있는 경기도의 행정은 더더욱 그렇다. 고정된 900만명이 아니라 매년 과천시 인구(71,635명)의 4배에 달하는 27만8천명이 늘어나니 상황은 더더욱 다르다.

 

도시분야 전문가는 아니지만 난개발이니 불균형이니 하는 말의 의미는 대략 이해한다. 그런데 근복적인 난개발 원인은 따지고 보면 정책과 인력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선 수도권 정책이 인구 집중을 억제하기 보다는 신도시의 건설로 인구를 증가시켜 왔다.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수도권에는 308만명이 증가했다.

 

즉, 경기도가 283만명, 인천광역시가 54만 늘었으며 서울시는 29만명 감소했다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도 난개발을 막지 못하는 구조적인 부분이 있다고 한다.

 

인구가 늘면 행정수요는 증대한다. 인구에 비례해서 증가하지는 않더라도 주민의 편익을 위해 구청을 설치해야 하고 도시화에 따라 관련 부서를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경기도 일반직 공무원은 1995년 2,796명에서 1999년 2,480명으로 감소하였고 시군도 1995년 30,317명이던 것이 1999년에는 27,555명으로2,762명 감소했다. 시군당 평균 90명이 감소했다. 또한 구조조정과 총정원제에 묶여 일이 늘고 인구가 늘어도 공무원은 오히려 감소했다.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행정의 수요와 질적 수준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치가 점점 올라가는 바람직한 현상속에서 더욱 걱정이 많다. 공무원들이 야근으로도 일을 다하지 못하여 휴일에도 사무실에 나와서 업무를 해야 하는 어려운 처지에 있다.

 

야근과 휴일근무, 그리고 시군, 읍면동에서는 각종 행사 준비를 위해 재충전을 위한 시간을 갖지 못하여 장기적으로는 공무원 사회에서도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실정이다.

 

더구나 경기도와 도내 시·군의 행정은 힘이 든다. 행정내용이 대형화되고 도시와 농촌이 풀어야 할 현안도 많고 수도권의 특성상 다른 시·도에 비해 업무가 더 복잡하다.

 

경기도 공무원의 후생복지 정책을 책임지는 실무자로서 이같은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사명감을 가지고 현장에서 애쓰고 있는 후배 공무원들에게 격려와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

 

그리고 여러분의 선배들이 개척한 탄탄한 경기도와 시·군정을 더더욱 발전시켜서 900만 도민 모두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공직자가 되어 주기를 바란다. 행정의 기본을 도민에게 두고 통일을 준비하는 현장 경기도 공무원으로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는 청년 공무원이 되기를 바란다.

 

 

[저자 약력]
-1958년 화성 비봉 출생
-경기도청 홍보팀장, 공보과장
-동두천·오산·남양주시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화성시 시민옴부즈만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이강석 기자

공직 42년, 동두천, 오산, 남양주부시장, 경기도 실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현) 화성시시민옴부즈만, 행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