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차사(咸興差使)란 심부름 간 사람이 돌아오지도 않고, 아무런 소식도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출전] 조선 초기, 방석(芳碩)의 변(1차 왕자의 난)이 있은 뒤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는 정종(定宗)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고향인 함흥에 은거했다. 그 후 형제들을 살해하면서까지(2차 왕자의 난) 왕위를 차지한 태종(太宗) 이방원(李芳遠)은 분노한 태조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함흥으로 차사를 보냈으나 태조가 번번이 활을 쏘아 차사들을 죽이거나 가두어 돌려보내지 않았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함흥차사’는 심부름 간 사람이 아무런 소식이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이에 대한 전고는 다음과 같다. 「태조가 만년에 왕업을 일으킨 함흥에 대한 그리움을 품고 세자에게 왕위를 물려준 뒤 북궐(北闕)로 행행하고 나서는 대궐로 돌아오려 하지 않았다. 이에 조정에서 매번 돌아오도록 청하였으나 청을 이룰 수 없었다. 그리하여 전후로 보낸 사자만 10여 명이었는데 모두 돌아오지 못하였다. 판승추부사(判承樞府事) 박순(朴淳)이 비분강개하여 자신이 가기를 청하였다.
함흥에 이르러 멀리 행궁이 바라보이자 일부러 새끼 말은 나무에 매어 두고 어미 말을 타고 가는데, 말이 자꾸 뒤돌아보며 머뭇거려 나아갈 수가 없을 정도였다. 박순은 상왕과 어렸을 때부터 친구였기 때문에 상왕은 그를 반갑게 맞아 옛일을 얘기하며 정성껏 대접해 주었다.
상왕이 물었다. “새끼 말을 나무에 매어 둔 것은 무슨 까닭인가?” “길을 가는 데 방해가 되어 매어 두었는데, 어미와 새끼가 차마 서로 헤어지지 못하였습니다. 미물이라도 또한 지극한 정인가 봅니다.” 박순은 이렇게 대답하고는 눈물을 흘리며 오열했다. 상왕도 감동하여 눈물을 줄줄 흘렸다.
하루는 박순과 함께 바둑을 두고 있었는데, 마침 쥐가 새끼를 물고 가다가 지붕에서 떨어져 죽게 되었는데도 서로 저버리지 않는 것을 보았다. 박순이 다시 바둑판을 밀고 땅에 엎드려 우니, 상왕이 슬피 여겨 곧 대궐로 돌아갈 뜻을 밝혔다. 박순이 하직하고 돌아가려고 하자 상왕이 속히 가라고 했다. 행재소에 있던 신하들이 그를 죽이도록 청하였으나 상왕이 허락하지 않았다.
그리고 박순이 이미 용흥강(龍興江)을 건넜으리라 추측하고 사자에게 칼을 주면서 말했다. “만약 이미 강을 건넜으면 추격하지 마라.” 그런데 박순은 우연히 급작스런 병에 걸려 그때까지 배 안에 있으면서 강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사자가 박순을 요참(腰斬)하고 돌아오니 상왕이 크게 통곡하며 물었다. “박순이 죽으면서 무어라 하던가?” 사자가 대답했다. “북쪽으로 행궁을 향하여 ‘신은 죽습니다. 원컨대 전에 하신 말씀을 바꾸지 마소서.’라고 부르짖었습니다.”
상왕이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박순은 어렸을 적의 좋은 친구이다. 내가 지난번에 한 말을 번복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고는 어가를 대궐로 돌렸다. 태종은 박순의 죽음을 듣고 놀라 애통해하면서 등급을 더하여 진휼(軫恤)하고, 화공에게 명하여 그의 반신을 그리도록 했다.」
함흥차사는 우리나라에서만 쓰이는 성어로, 비슷한 말로는 끝내 소식이 없다는 뜻의 ‘종무소식(終無消息)’이 있다.
다음으로 강원도 포수라는 말이 있습니다. 강원도는 산이 많고 험해 포수가 한번 들어가면 좀처럼 나오기 어렵다는 뜻의 ‘강원도포수(江原道砲手)’라는 말을 더러 쓰게 됩니다. 혹자는 조금 치열하게 해석하기도 합니다.
강원도 산속에서 사슴 한 마리가 출현합니다. 이 사슴을 겨냥하는 포수는 여러 명인데 서로 서로가 몇명인지 누구인지 알지 못합니다.
첫번째 포수가 총을 쏘아 사슴이 쓰러지면 다른 포수들은 총을 쏘지 않고 기다린다. 끝까지 기다린 포수가 사슴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이처럼 종무소식의 경우에 함흥차사, 강원도포수라는 말을 쓰고있고, 더러는 슬며시 나가서 없어지는 이를 지칭하여 ‘부잣집 업이 나간 것 같다’고도 합니다.
한 가정을 잘살게 하는 업이라는 동물이 있습니다. 두꺼비, 뱀, 새 등 다양한 동물이 그 집에 머물면서 吉凶禍福(길흉화복)을 조율하면서 부잣집으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인부부, 아들과 딸, 손자손녀들이 공적인 활동에서 부족함이 있으면 이 업이 더 이상 그 집에 머물지 않고 다른 집으로 옮겨가게 됩니다. 언제 업이 나갔는지 몰라도 어느때부터인가 길흉화복이 엉키게 됩니다. 아프고, 장사가 안되고,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행중에서 소리없이 이탈한 사람을 ‘부잣집 업나가듯 사라졌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늘 업을 잘 모시고 잘 지켜야 합니다.
살면서 자주 쓰는 용어에 대해 그 출전과 상황을 알고 사용하면 좀더 찰진 대화의 무대로 나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불현듯 함흥차사와 강원돋포수 이야기를 적어보았습니다. 태조 이성계의 후손 효령대군 18대손으로서 며칠 후에 시제를 올립니다. 시골마을 종중 총무로써 아내와 함께 바쁘게 시제를 준비중입니다. 지금도 시제를 올리는가 묻는 분도 있었습니다만 우리 문중은 80전후의 어르신들이 모여서 시제를 올립니다.
그래서 젊은이들이 다수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펼치는 중입니다. 청장년들에게 문중의 의미와 역사를 전하는 일중에 두가지는 벌초참여와 시제동참입니다. 많은 종원들이 함께하고 며느리들도 와서 보고 배워서 자녀교육에 활용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강석 (李岡錫)
출생 : 1958년 화성 비봉
경력 : 경기도청 홍보팀장, 경기도청 공보과장
동두천·오산시 부시장 / 경기도균형발전기획실장
남양주시부시장 /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현직 : 화성시 시민옴부즈만
저서 : '공무원의길 차마고도', '기자#공무원 밀고#당기는 홍보#이야기' 등 수필집 53권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