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응대#몰카

이강석 전 남양주시 부시장(전 경기도청 언론담당)

 

 

1988년 이후 2000년까지 언론인의 취재방법은 다양했습니다. 자료를 요청하여 내용을 검토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다른 이해당사자의 주장을 첨가하여 기사를 완성합니다.

 

방송기자의 경우는 화면이 중요하므로 은밀하게 화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몰래카메라가 있습니다. 평소 친밀한 관계에 있는 기자가 정색을 하고 목소리를 고추세워 업무에 대해 묻는다면 녹음일 수 있습니다.

 

방송기자가 사무실에 왔는데 테이블에 올린 카메라의 센서 바늘이 툭툭 튀고 있다면 지금 녹취되고 있는 것이고 카메라 렌즈가 무엇인가를 촬영하고 있습니다. 몰카에 의한 보도내용을 보면 신발, 구두, 빈 의자 등이 주인공이 됩니다. 당시에도 소형 녹음기나 특수 장비가 많았을 것입니다.

 

두유업계를 뒤흔든 오산 잔다리마을 두유 홍보에서도 서울의 초등학교 급식 심의위원이라며 시설을 둘러보고 갔는데 다음날 전화로 취재동의를 요청했다고 합니다. 그럼 찍으러 오시라 하니 어제 안경에 장착된 카메라로 다 찍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언론인을 만날 때 결정적인 단어를 쓰지 않아야 합니다. 아주 정확한 발음으로 원론적인 이야기만 하라는 말입니다. 사정하지도 말고 부탁하지도 말고 더구나 변명해서도 안 될 일입니다.

 

지금 추진하고 있는 업무에 대해 말하고 국민이나 업체를 비판하여서는 안 됩니다. 민원인의 억지가 있더라도 상대편에서는 그렇게 주장하시는 것이고 우리는 이렇게 판단한다고 설명하면 됩니다.

 

몰카에 걸리는 줄도 모르고 전화 통화를 하였는데 다음 날 아침 뉴스에 자신의 목소리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음성변조를 하였다 해도 자신의 목소리는 그 느낌이 오는 법이지요. 그동안 3번 정도 목소리 출연을 한 바 있는데

 매번 객관적인 사실만 이야기 한것은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반복되는 말이겠으나 언론인의 취재가 끝나고 보도되고 나면 더 이상 이 건에 대한 논쟁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쿨하게 받아들이고 다음을 기약하면 됩니다. 기자들도 업무상 비평기사를 쓰는 것이지 그것이 재미있어서 그리하는 것 아닌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러니 한번 비판기사를 쓰면 다음번에는 홍보기사를 만들어 낼 마음의 준비를 할 것이니 그 타이밍을 잡아서 우리 부서의 좋은 일을 홍보하는 기회로 삼으면 됩니다. 오르고 내리는 경제사이클 처럼 홍보기사와 비판기사가 공존하는 언론시장의 특성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저자 약력]

-1958년 화성 비봉 출생
-경기도청 홍보팀장, 공보과장
-동두천·오산·남양주시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경기도민회장학회 감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이강석 기자

공직 42년, 동두천, 오산, 남양주부시장, 경기도 실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현) 화성시시민옴부즈만, 행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