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민선8기 첫 중국기업 투자유치 성과

  • 등록 2025.09.27 00:03:49
크게보기

종루이코리아와 600억 원대 이차전지 투자유치 협약 체결

 

 

[뉴스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취임 3년을 넘기면서 중국의 대한(對韓) 투자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민선 8기 경기도가 중국기업과의 첫 투자유치 성과를 올린 것.

 

중국 출장중인 김 지사는 26일 중국 장쑤(江蘇)성 난징(南京)에서 종루이(中瑞)코리아와 600억 원대 이차전지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했다.

 

평택 오성 외투단지에 생산시설 설치

150명 신규 고용... 연간 500억 원 매출 가능
중국의 對韓 투자유치 신호탄 가능성 커

 

협약은 평택시 오성 외투단지 내 약 2만1,200㎡ 부지에 종루이코리아가 600억원 규모의 이차전지 부품 생산시설을 설립을 골자로 하고 있다.

 

종루이코리아는 중국의 이차전지 부품기업인 종루이전자와 한국의 이차전지 자동화설비 제조기업인 케이엔에스가 세운 합작법인입니다. 중국 종루이전자가 70%, 한국 케이엔에스가 30%를 투자했다.

 

김동연 지사는 “임기내 달성을 약속한 100조 투자유치를 내달쯤 달성할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 일본 유럽의 자본은 많이 들어왔지만 중국 투자는 처음”이라면서 “(첫 투자 자본이) 이차전지라는 첨단산업에 들어오게 돼 뜻깊다”고 밝혔다. 이어 김 지사는 “경기도가 비즈니스 활동을 최대한 지원하고 돕겠다”고 덧붙였다.

 

종루이전자(본사) 옌팅주 부사장도 “종루이코리아의 투자는 이제 시작”이라며 “향후 더 많은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동연 지사님과 경기도와의 협력관계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종루이전자(본사)치엔정 영업부사장도 “오늘 협약체결식은 단순한 MOU체결을 넘어 이차전지산업에 관한 경제협력을 이끌어나가는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경기도와 긴밀히 협력해 함께 도약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투자협약 체결은 중국의 대한(對韓) 투자 신호탄이 될 가능성이 크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윤석열 정부 3년간 한중 관계 경색과 글로벌 불확실성 증대로 중국에서의 투자유치가 여의치 않았으나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이후 양국 관계가 정상궤도에 진입했기 때문이다.

 

이날 협약 체결에 따라 평택 오성 외투단지내 이차전지 부품 생산시설은 이르면 2026년 초 착공을 시작해 그해 연말쯤 준공할 전망이다.

 

이차전지는 방전된 이후에도 재충전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다. 모바일, IT기기에서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까지 폭넓게 활용되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해당 시설에선 이차전지 부품인 ‘탑 캡 어셈블리(Topcap Assembly)’를 생산하게 된다. 이름처럼 배터리의 상단부를 이루는 탑 캡 어셈블리는 전기 연결성을 확보하고, 폭발을 방지해주는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이번 투자협약 체결로 150명의 신규고용과 연간 500억 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생산능력 확보가 예상된다. 주요 고객사는 LG에너지솔루션과 글로벌 전기차 기업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경기도는 대한민국 이차전지 산업의 중심지다. 2023년 통계청 자료 기준으로 이차전지 관련 산업 사업체는 경기도에 1,073개(전국의 32.6%)가 있다. 종사자 수만 3만 854명으로 전국의 18.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모두 전국 1위다.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한국과 중국기업이 국내 이차전지의 주요 부품 공급망을 확대한 것은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이번 협약체결이 경기도가 대한민국의 중심에서 이차전지 산업의 국제거점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지 기대되는 대목이다.

김영준 기자 ojun1256@gmail.com
Copyright @뉴스폼 Corp. All rights reserved.


프로필 사진
김영준 기자

[편집기자 경력 20년] 경인일보 전 편집부장 / 한국편집상 2회 수상 / 이달의 편집상 6회 수상

  • youtube
  • 네이버블로그
  • facebook